개요
스토리지 저장방식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따라 블록(Block), 파일(File), 오브젝트(Object)로 나뉩니다.

내용
1. 블록 스토리지
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 단위로 쪼개어 저장합니다. 각 블록은 고유 주소를 가지며, 데이터는 계층 구조 없이 관리됩니다.
낮은 레벨의 구조로, 빠른 데이터 접근과 처리 속도 제공합니다. 뛰어난 확장성과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며, 파일 스토리지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기반이 됩니다.
고성능, 저지연 데이터 입출력에 적합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, 가상머신, 미션 크리티컬한 시스템에 주로 사용됩니다.
메타데이터 관리가 제한적이며,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.
2. 파일 스토리지
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저장하고, 폴더/디렉토리 구조로 계층적으로 관리합니다. 전통적인 컴퓨터 파일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입니다.
구조가 직관적이고 관리가 용이하며, 다수의 사용자가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양이 증가할수록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. 데이터 증가에 따라 관리가 복잡해집니다.
3. 오브젝트 스토리지
데이터를 오브젝트(객체) 단위로 저장합니다. 각 오브젝트는 데이터, 풍부한 메타데이터,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며, 폴더나 계층 구조 없이 플랫 구조로 관리됩니다.
메타데이터가 매우 풍부하여 데이터 검색 및 관리 용이합니다. 주로 API를 통해 접근하며 무제한 수준으로 확장 가능합니다.
대용량,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적합합니다. 접근성과 내구성, 재해복구 기능이 우수합니다.
다만, 전통적인 파일 시스템과 호환성이 부족하며 실시간 고속 입출력 작업에는 부적합합니다.